1970~80년대 군사정권 시절, 국가폭력의 상징으로 불렸던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재탄생합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추진해온 리모델링 작업이 최근 마무리되어, 오는 6월 10일 '6.10 민주항쟁 기념일'에 개관식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곳은 1976년 '국제해양연구소'라는 위장 간판 아래 세워졌으며, 이후 400명이 넘는 민주화 인사들이 불법 구금과 고문을 당한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은 ‘서울의 아우슈비츠’라는 별칭으로도 불렸습니다.
군사정권 시절 전국의 대공분실 중 유일하게 원형이 보존된 장소로, 이번 기념관 개관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됩니다.
개관과 관련된 내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념관 구성: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간
기념관은 **기존의 구관(대공분실 건물)**과 새롭게 조성된 신관으로 나뉘어 구성되었습니다.
구관 – '기억의 공간'
- 조사실 509호: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으로 사망한 장소. 1980년대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
- 대공 수사실, 고문실, 감시카메라 등 원형 보존 구조
- 국가폭력의 실상을 보여주는 실물 전시와 피해자 증언 영상 상영
이 건물은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건물로, 고문을 위해 구조적으로 설계된 특수한 공간입니다.
예컨대, 5층 창문은 머리 하나 나오기 힘들 정도로 작고, 책상과 의자는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고정되어 있었으며, 천장에는 감시 카메라가 숨어 있었습니다.
신관 – '민주주의를 조망하는 공간'
- 건축 테마: "역사를 마주하는 낮은 시선" – 지하 통로로 이동하며 민주주의 역사를 조망
- 디지털 아카이브와 교육 공간 마련
- 기획 전시 및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운영
전시 구성 및 일정
상설 전시
-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
- 간첩조작 사건(삼척고정간첩단, 민청련 사건 등)과 피해자 증언
- 한국 현대사 속 인권과 국가폭력 사례들
특별 기획전
- 6.10 민주항쟁 특별전
- 기간: 2025년 6월 10일 ~ 9월 30일
- 내용: 1987년 6월 항쟁의 역사와 현재적 의미를 조망하는 전시
- 이후 분기별 주제 기획 전시 예정
(예: 여성 인권, 지역 민주주의 운동, 국제 연대운동 등)
방문 안내
-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71길 37 (지하철 1호선 남영역 도보 3분)
- ⏰ 운영시간:
-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 월요일 및 공휴일 휴관
- 💵 입장료: 무료
- 📞 문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공식 홈페이지 참조)
- 📝 예약: 단체 방문은 사전 예약 필수, 해설 프로그램 신청 가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이 공간을 단순한 ‘과거사 박물관’이 아닌,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고, 미래 세대에 전하는 교육의 장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사장은 개관에 앞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민주주의는 끝이 없다. 언제나 다시 시작이다.”
남영동 민주화운동기념관이 한국 현대사의 어두운 단면을 마주하고,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사회적 기억의 공간이자,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 교육의 장으로 자리 잡길 바랍니다.
'문화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명문 구단 FC바르셀로나, 다시 서울로 (4) | 2025.06.13 |
---|---|
2025 대한민국 여름맞이 숙박세일페스타, 최대 5만 원 할인 받는 법! (1) | 2025.05.24 |
5월, 코리아둘레길 따라 떠나는 숨은 여행지 – 으뜸촌 4곳 + 체험 절차 안내 (0) | 2025.05.17 |
조선왕릉 숲길 다시 열린다! 5월~6월 한정 무료 개방 정보 총정리 (0) | 2025.05.13 |
전쟁과 아픔, 회복의 기록… 제주4·3과 산림녹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