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소비를 장려하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5월 1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5개월간 전국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정책은 디지털 결제를 통해 소비자는 최대 20% 수준의 혜택을 누릴 수 있고, 상인들에게는 매출 증대 기회를 제공하는 일석이조의 소비 촉진 정책입니다.
이 내용,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어떤 행사인가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모바일·카드형)으로 결제 시, 회차별 누적 결제금액의 최대 10%를 동일한 디지털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회차당 환급 한도는 2만 원, 전체 20회차로 운영되며 최대 40만 원 환급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행사 기간: 2025년 5월 11일 ~ 9월 30일
- 대상 장소: 전국 전통시장 및 골목형 상점가
- 대상 결제수단: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모바일/카드형)
- 운영 방식: 일요일~토요일을 1회차로, 매주 반복 진행 (총 20회차)
💡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나요?
1만 원 | 1,000원 환급 |
5만 원 | 5,000원 환급 |
10만 원 | 1만 원 환급 |
20만 원 이상 | 최대 2만 원 환급 |
💬 환급액은 회차 종료 후 약 일주일 뒤,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지급됩니다.
단, 지급일로부터 30일 내 등록하지 않으면 소멸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 등록해야 합니다.
💡 혜택은 최대 20%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기본적으로 10% 할인된 가격에 판매되며, 여기에 10% 환급까지 적용되면 최대 20%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예시)
① 10만 원 상품권을 9만 원에 구매
② 10만 원 결제 → 1만 원 환급
③ 실질 지출은 9만 원, 사용액은 11만 원
→ 20% 혜택
⚠️ 알아두면 좋은 정보
- 환급은 1,000원 단위로 지급되며, 1,000원 미만은 절사됩니다.
- 회차별 최대 환급은 2만 원이며, 전체 기간 기준으로 최대 40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 보유 디지털 상품권이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환급을 받을 수 없으며, 일정 금액을 먼저 사용해야 환급 등록이 가능합니다.
🧭 정책의 의미는?
이번 환급 행사는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 지역 소상공인 매출 회복
- 골목상권 디지털 전환 촉진
- 내수 경제 활성화
를 목표로 하는 실질적인 정책입니다.
특히 디지털 결제 문화 확산에 따라, 온누리상품권도 모바일과 카드형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정책은 소비자의 접근성과 혜택을 동시에 높이는 방식으로 진화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참여 문의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콜센터: ☎️ 1670-1600
- 참여 방법 및 사용처: 온누리상품권 앱 또는 제로페이 가맹 플랫폼에서 확인 가능
'생활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리워드 제도, 6월 17일부터 전면 개편 (1) | 2025.06.08 |
---|---|
공공시설 예약, 이제 ‘공유누리’ 말고도 네이버지도·카카오톡에서도! (0) | 2025.05.18 |
사회적 재난 정의와 보상 체계, 싱크홀 사고가 던진 질문 (0) | 2025.04.15 |
전통시장·마트에서도 할인! 농림축산식품부 할인정책 총정리 (0) | 2025.04.10 |
2025년 7월 시행, 개정 대부업법 핵심 정리 (0) | 2025.04.09 |